티스토리 뷰

목차



    구글 드라이브 용량 부족 시 꼭 해야 할 정리 순서
    구글 드라이브 용량 부족 시 꼭 해야 할 정리 순서

     

    구글 드라이브 용량 부족 시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대용량 파일의 위치입니다. 특히 Gmail 첨부파일, Google 포토, 공유 드라이브의 숨은 파일까지 포함되며, 이는 '저장용량 확인 도구'를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파일부터 지워야 할지, 보관이 필요한 자료는 어떻게 분류할지 막막한 분들이 많습니다.

     

    1. 저장공간 확인부터 시작하기

    1) 용량 사용 현황을 한눈에 파악

     

    구글은 Google One 저장용량 관리 페이지를 통해 현재 드라이브, Gmail, 포토에서의 사용량을 시각적으로 제공합니다. 여기서 어디에 용량이 집중되어 있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이후의 정리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숨은 대용량 파일 찾기

     

    드라이브 상단 검색창에서 `파일 크기 > 100MB 이상` 조건을 설정해 대용량 파일을 먼저 필터링합니다. 특히 공유 받은 PDF, 오래된 동영상, 미사용 앱 백업 파일이 용량을 크게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휴지통’과 ‘스팸함’도 점검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에 남아 공간을 계속 차지합니다. 휴지통은 수동 비우기 전까지 자동으로 비워지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Gmail의 스팸함 역시 의외로 많은 용량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용량 점검 전 꼭 알아둘 점

    • Google One 저장용량 페이지는 무료 사용자도 이용 가능
    • Gmail과 Google 포토는 드라이브 용량에 포함됨
    • 드라이브 내 숨은 파일은 검색 기능으로만 찾을 수 있음
    • 휴지통은 자동 비우기 안 됨, 수동 삭제 필요

    2. 삭제 vs 백업, 기준부터 정하자

     

    1) 반드시 보관할 파일을 먼저 분류

     

    업무상 반복 참조가 필요한 파일, 추후 법적 증빙이 될 수 있는 자료는 외장 하드 또는 타 클라우드에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계약서, 세금 관련 문서, 연구 데이터 등은 원본 파일 유지가 필수입니다.

     

    2) 자동 백업된 사진·동영상은 삭제

     

    Google 포토가 자동 백업을 켜둔 상태라면, 휴대폰에서 삭제해도 클라우드에 계속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Google 포토 내에서 직접 정리하거나, 고화질 → 저장용(저화질)로 변경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중복 파일은 ‘이름 + 크기’ 기준 정리

     

    같은 파일이 여러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정확한 파일명과 생성 날짜를 기준으로 남겨둘 파일을 결정해야 합니다. 구글 드라이브에서는 별도 중복파일 관리 기능이 없어 수동 정리가 필요합니다.

     

    항목 삭제 우선순위 백업 권장
    영상 파일(100MB 이상) 높음 외장하드 권장
    업무용 문서 낮음 Google Drive, Dropbox 병행
    자동 백업된 사진 중간 NAS 또는 Google 포토 활용
    다운로드 파일 높음 삭제 후 재다운 가능

    3. 지속 가능한 저장관리 전략 세우기

     

     

     

     

    아이폰 앱 보관함의 기능과 자동 정리 원리

    아이폰 앱 보관함은 설치된 앱을 자동으로 분류해 정리하는 기능입니다. iOS 14부터 도입된 이 기능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과 앱의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홈 화면의 마지막 페이지에 생성된 ‘앱

    wooju1000.bokostory.com

     

     

     

     

    1) 용량 알림 설정으로 습관 들이기

     

    Google One 알림을 활성화하면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 도달했을 때 이메일로 자동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량을 무심코 방치하지 않게 해주는 중요한 예방장치입니다.

     

    2) 공유 문서는 다운로드 후 삭제

     

    외부인과 공유한 문서는 공유 이후에도 계속 본인 계정 용량을 차지합니다. 다운로드 후 필요한 문서만 남기고 공유 해제 및 삭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 타 클라우드와 병행 전략

     

    Dropbox, OneDrive 등 타 서비스와 분산 사용 시 백업의 이중화와 용량 분산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Google Workspace 미사용자는 추가 저장공간 구매보다 병행 전략이 경제적입니다.

     

    지속 가능한 클라우드 정리 전략

    • 매달 1회 이상 드라이브 정리 루틴 만들기
    • Google 포토 저장 화질 설정 주기적 확인
    • 백업 → 삭제 → 공유 해제 순서 유지
    • 타 클라우드 서비스 적극 활용




    저장용량 정리 가이드


    4. 실전 파일 정리 루틴, 이렇게 해보세요

    1) 매월 1일은 ‘디지털 청소의 날’로 정하기

     

    정리 습관은 정해진 날짜에서 시작됩니다. 매월 1일을 ‘디지털 클린업 데이’로 지정하고 알람을 설정해두면 잊지 않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이 날엔 Gmail, 드라이브, 포토를 모두 열어보며 ‘정리할 파일, 보관할 파일, 버릴 파일’을 3분류로 나누는 것이 핵심입니다.

     

    2) 폴더별 정리 vs 기간별 정리 방식 선택

     

    정리 방식은 주로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프로젝트, 업무, 개인’처럼 폴더 단위로 나누는 방식, 다른 하나는 ‘2024년 1분기’처럼 기간을 기준으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혼용하지 말고 하나의 정리 체계를 유지해야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검색 기능을 습관처럼 활용

     

    구글 드라이브는 검색창 기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before:2022-12-31’ 혹은 ‘type:pdf’ 같은 명령어를 통해 특정 조건의 파일만 빠르게 걸러낼 수 있습니다. 파일을 찾지 못해 삭제를 미루는 일이 없도록, 검색어 명령어를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구글 드라이브 정리 루틴 3단계

    • 1일 오전: 전체 파일 스캔 및 분류
    • 오후: 중복·대용량 파일 삭제
    • 저녁: 백업 및 폴더 정리 마무리

    5. 사례 기반 실전 전략과 활용법

     

     

     

     

    유튜브 구글 광고, 초보자도 쉽게 시작하는 방법

    유튜브 구글 광고는 적은 예산으로도 높은 도달률을 기대할 수 있는 강력한 마케팅 도구입니다. 구글 애즈(Google Ads) 기반의 영상 광고는 유튜브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과 타겟팅 기능을 결합해,

    wooju1000.bokostory.com

     

     

     

     

    1) 실제 사용자 정리 사례

     

    40GB 저장공간이 꽉 찼던 직장인 박 모 씨는 Google 포토 고화질 설정 변경, PDF 스캔 파일 삭제, 5년 이상 지난 업무자료 백업 외장하드 이동을 통해 12GB의 여유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정리 후에도 문서 검색 속도가 개선되어 업무 능률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2) 팀 단위 드라이브 정리 프로토콜

     

    업무 협업에서 공유 드라이브는 가장 관리가 어려운 구역입니다. 한 마케팅팀은 ‘주간 파일 관리자’를 지정해, 매주 금요일마다 새로 등록된 자료를 분류하고, 2주 이상 열람이 없는 파일은 임시보관 폴더로 이동 후 30일 뒤 자동 삭제하도록 룰을 만들었습니다.

     

    3) 대용량 첨부 대응 전략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 첨부 파일 중 특히 영상, 설계도, 고화질 이미지 파일은 한 번 공유 후에도 계속 용량을 차지합니다. 해결책은 링크 첨부 방식으로 대체하거나, Gmail 첨부파일 자동 저장 기능을 OFF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전략 적용 방법 효과
    Google 포토 고화질 저장 설정 ‘설정 > 저장용량 절약 모드’ 활성화 약 30% 용량 절감
    파일 관리자 지정 운영 공유 드라이브별 관리 담당자 지정 정리 지속성 확보
    첨부파일 링크 전환 영상/설계도는 Drive 공유 링크 사용 Gmail 용량 감소
    검색 명령어 활용 ‘larger:100M’으로 대용량 파일 필터링 정리 속도 향상

    정리 전략 실전 체크리스트

    • Google 포토 저장 설정 확인 완료
    • Gmail 첨부 자동저장 기능 OFF 전환
    • 팀 단위 드라이브 정리 프로토콜 수립
    • 링크 첨부 전환 → 저장용량 절감




    스토리지 관리페이지


    구글 드라이브 정리 자주하는 질문

    Q. 구글 드라이브에서 대용량 파일만 모아보는 방법이 있나요?
    검색창에 ‘larger:100M’ 또는 ‘파일 크기 기준 정렬’을 사용하면 100MB 이상 파일을 손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Q. Gmail에서 첨부파일이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나요?
    네, 특히 영상·이미지·PDF 첨부파일은 상당한 용량을 차지합니다. 저장공간 관리 페이지에서 Gmail 영역을 확인해 보세요.
    Q. Google 포토에서 사진을 지우면 휴대폰에서도 사라지나요?
    Google 포토와 기기 동기화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백업만 설정되어 있다면 클라우드에서 삭제해도 기기에는 남을 수 있습니다.
    Q. 외장 하드나 다른 클라우드로 백업하는 게 안전할까요?
    네, 특히 법적·업무적 중요도가 높은 파일은 Google Drive 외에 Dropbox, NAS 등 이중 백업이 안전합니다.
    Q. 휴지통을 비우지 않으면 용량을 계속 차지하나요?
    그렇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휴지통에 있는 파일은 수동으로 삭제하지 않으면 공간을 계속 차지하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Q. 중복 파일을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기능이 있나요?
    현재 구글 드라이브에는 중복 파일 자동 정리 기능이 없습니다. 파일명·업로드 날짜·내용을 기준으로 수동 분류해야 합니다.